-
강아지 귀염증(외이염),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강아지 수의학방 2025. 3. 25. 12:57반응형
➤ 강아지 귀염증은 외이염이라고 불립니다. 강아지 귀염증이 생겨서 병원에 내원하여 치료도 받고 약도 먹었지만 쉽게 좋아지지 않아서 속상할 때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강아지 귀염증의 근본적인 문제부터 보호자가 알아야 할 사항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강아지 귀 염증(외이염)이란?
강아지의 귀는 사람과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어 염증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외이염은 외이도(귀 바깥쪽에서 고막까지 이어지는 통로)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가려움, 악취, 분비물 증가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심할 경우 중이염이나 내이염으로 진행될 수 있어 조기 발견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외이염은 강아지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병 중 하나이며, 특히 귀가 처진 견종에서 더 자주 나타납니다. 보호자가 정기적으로 귀 상태를 점검하고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예방의 핵심입니다.
➤ 강아지 귀의 구조
강아지의 귀는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부분이 외이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외이(Outer Ear)
- 귓바퀴(이개)와 외이도로 구성되며, 소리를 수집하는 역할을 합니다.
- 외이도는 'L'자 형태로 되어 있어 이물질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고 염증이 생기기 쉬운 구조입니다.
- 중이(Middle Ear)
- 고막과 세 개의 작은 뼈(이소골)로 구성되며, 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외이염이 심해지면 중이염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내이(Inner Ear)
- 청각과 균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내이염으로 진행되면 청력 손실과 균형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이염은 주로 외이에 발생하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중이와 내이로 퍼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강아지 귀 염증이 생기는 원인
1) 습기와 물
- 강아지의 귀는 습기가 차면 염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귀가 젖은 상태에서 오랜 시간 방치되면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특히 목욕 후 귀가 제대로 건조되지 않거나, 비가 오는 날이나 수영 후에 귀 안에 물이 들어가면 염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2) 귀 청소의 부주의
- 귀를 청소할 때 과도하게 면봉을 사용하거나, 귀지를 깊숙하게 밀어 넣으면 귀 안쪽에 상처가 생기거나 염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잘못된 세정제로 귀를 청소할 경우 귀 안의 자연적인 보호층을 훼손시켜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귀 세정제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수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 합니다.
3) 알레르기
- 강아지가 음식 알레르기나 환경 알레르기(먼지, 꽃가루 등)를 가지고 있다면, 귀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반응은 귀 안쪽을 자극해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귀를 긁거나 문지르는 행동이 염증을 더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4) 귀 진드기 및 기생충
- 귀 진드기와 같은 기생충은 강아지의 귀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귀 진드기는 강아지 귀에 심한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그로 인해 귀를 자주 긁게 되어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기생충은 강아지의 귀 안에 서식하면서 염증을 일으킵니다.
5) 귀에 물리적인 자극
- 귀를 너무 세게 긁거나, 강아지가 외부의 물체에 귀를 긁히거나 찧는 경우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귀가 큰 견종이나 털이 많은 견종에서는 귀가 처져 있어 귀를 보호할 수 있는 자연적인 기작이 부족해 염증이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6) 내부적인 질병이나 면역 이상- 강아지가 면역 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때, 자가면역 질환이나 호르몬 이상(예: 갑상선 문제) 등이 귀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귀 염증이 자주 발생하거나 치료가 잘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7) 불완전한 치료
- 귀 염증을 처음 치료할 때, 약물 복용을 중단하거나 귀 세정제를 제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염증이 완전히 치유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재발할 수 있습니다. 염증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완전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귀의 염증이 계속해서 반복됩니다.
8) 귀의 구조적 문제
- 어떤 강아지들은 귀의 구조상 외이도가 L자 형태로 되어 있어 이물질이나 귀지가 자연스럽게 빠져나가기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귀 안에 염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귀가 크거나 처진 견종(예: 코커스패니얼, 바셋 하운드)에서는 귀의 통풍이 원활하지 않아 염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9) 환경적 요인
- 강아지가 자주 노출되는 환경의 온도와 습도도 귀 염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습한 환경이나 더운 날씨에서는 귀 안에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또한,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는 귀 안에 먼지가 쌓여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0) 유전적 요인
- 일부 견종은 유전적으로 귀 염증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귀가 긴 견종이나 털이 많은 견종은 귀의 통풍이 잘 되지 않아서 습기나 세균이 쌓여 염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또한, 알레르기에 취약한 견종도 귀 염증이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강아지 귀 염증이 계속 재발하는 이유
강아지가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귀 염증이 반복된다면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충분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음- 약물 치료를 중단하거나 불규칙하게 사용하면 염증이 완전히 낫지 않은 상태에서 재발할 수 있습니다.
2) 근본 원인이 해결되지 않음
- 알레르기, 호르몬 이상, 면역 질환 등 외이염을 유발하는 근본 원인이 해결되지 않으면 염증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3) 잘못된 귀 청소 방법
- 면봉 사용으로 인해 귀지가 깊숙이 밀려 들어가거나, 과도한 청소로 인해 귀 안의 보호층이 손상되면 외이염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4) 습기 및 환경 문제
- 목욕 후 귀가 제대로 건조되지 않거나 습한 환경이 지속되면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5) 기생충 감염 지속
- 귀 진드기 등 기생충 감염이 완전히 치료되지 않으면 반복적으로 외이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강아지 귀 염증의 치료 방법
외이염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게 진행됩니다.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동물병원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1) 귀 세정제 사용- 수의사의 지시에 따라 귀 세정제를 사용하여 귀 안을 깨끗하게 관리합니다.
- 무리하게 면봉을 사용하지 말고, 전용 세정액과 거즈를 이용해 닦아줍니다.
2) 항생제 및 항진균제 치료
- 세균 감염이 원인일 경우 항생제 점안액이나 연고를 사용합니다.
- 곰팡이 감염일 경우 항진균제를 처방받아 사용합니다.
3) 기생충 치료
- 귀 진드기 감염이 확인되면 항기생충 약을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4) 알레르기 및 면역 관리
- 음식 알레르기가 의심되면 식이 조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환경적 요인을 줄이기 위해 집 안을 깨끗이 관리하고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제거합니다.
➤ 귀 염증이 잘 생기는 견종과 관리법
특정 견종은 귀 구조나 털 특성상 외이염에 더 취약합니다.
✅ 외이염이 잘 생기는 견종- 귀가 큰 견종: 코커스패니얼, 바셋 하운드, 블러드하운드
- 털이 많고 귀가 덮인 견종: 푸들, 시츄, 라사압소
- 알레르기에 취약한 견종: 불독, 레트리버, 웨스트 하이랜드 화이트 테리어
✅ 관리법
- 귀 털 정리: 외이도가 막히지 않도록 귀 주변 털을 정기적으로 다듬습니다.
- 습기 제거: 목욕 후에는 귀 안쪽까지 완전히 건조시킵니다.
- 정기적인 귀 청소: 전용 세정액으로 과도한 귀지를 제거합니다.
- 알레르기 관리: 식단을 조절하고 환경적 자극을 최소화합니다.
➤ 보호자의 태도
- 정기적인 귀 점검 습관화: 매주 강아지 귀를 확인하고 이상이 없는지 체크합니다.
- 수의사 상담 유지: 치료 중에는 수의사의 지시에 따라 약물 사용을 끝까지 지속해야 합니다.
- 강아지가 귀를 긁거나 불편해하면 즉시 확인: 초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 목욕 후 귀 관리 철저: 귀가 젖지 않도록 주의하고, 목욕 후에는 반드시 건조합니다.
강아지의 귀 염증(외이염)은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심각한 합병증 없이 회복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그러나 재발이 잦고 방치하면 중이염, 내이염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보호자는 강아지의 귀 상태를 자주 확인하고, 청결을 유지하며, 이상 징후가 나타나면 신속하게 수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올바른 관리로 강아지가 건강한 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신경 써 주시기 바랍니다.반응형'강아지 수의학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항문낭 짜기, 안하면 문제가 되나요? (0) 2025.03.27 강아지 펫티켓, 반려인도 비반려인도 같이 해요! (0) 2025.03.27 강아지 장염, 종류별 증상과 치료법까지 알아보기 (0) 2025.03.26 강아지 (고열)열날때 제대로 원인을 파악하고 대처하셔야 합니다! (0) 2025.03.25 강아지 발작/간질, 제대로 알고 대처하세요! (0) 2025.03.25 강아지 발바닥 패드,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0) 2025.03.25 강아지 치매 증상, 그 원인과 치료, 예방까지 알아보기 (0) 2025.03.25 강아지 농피증, 그 원인과 치료, 예방까지 알아보기 (0) 2025.03.24 - 외이(Outer Ear)